참조한 게시글 : https://blog.aaronroh.org/118
'Docker Desktop(WSL2)에서 완성된 웹페이지, 컨테이너 등을 구동했는데
로컬만 접속되고 외부에서는 접속이 안돼요' 에 대한 문제 해결하는 글입니다.
도커에 대한 지식 없이 무작정 Docker Desktop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서 한 가지 해결하지 못하던 게 있었다.
외부 네트워크, 외부 와이파이에서 포트포워딩을 Dock Desktop의 내부 ip(호스트 머신의 ip)에 연결해줘도 연결이 안된다.
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
사용하고 있는 랜선과 연결된 라우터 혹은 공유기의 설정 페이지에서 포트포워딩을 진행한다.
이 때 내부 ip는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Docker Desktop ip와 관련 없는 기존의 ip이다.
이후 wsl2를 이용하여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한다.
apache2 서버를 세팅한 뒤, Docker Desktop과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브라우저에서 기존의 ip:port로 이동하면 외부에서도 접근이 가능해진다!
'환경 구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 Copilot 모델 추가 (1) | 2024.11.13 |
---|---|
칼리 리눅스(Kali Linux) 설치하기 (1) | 2024.09.28 |
[Let's Encrypt]무료 SSL/TLS 인증서 발급 (0) | 2024.09.27 |
나만의 CTF사이트 만들기(feat. whale plugin) (0) | 2024.08.25 |
[WebHacking]Burp Suite 사용법(+세팅) (0) | 2024.08.09 |